Tuesday, April 16, 2013

DRAM 성공신화의 교훈

삼성이 메모리반도체는 아무 것도 없는 허허벌판에서 시작한지 불과 10여년만에 세계 일등이 됐다. 반면에 프로세서 분야에서는 그동안 투자한 것에 비하면 성과가 미미하다. 그 이유에 대해 동료들과 토론을 해본적이 있다.

삼성반도체의 일등공신 이윤우부회장. 그는 실력 만큼이나 고집도 쌨다. 반도체를 공부하기위해 전자과를 택했고, 삼성이 반도체사업을 할거라는 소문을 듣고 삼성에 들어왔다. 그러나 삼성이 특유의 돌다리 두드려보기식으로 사업착수를 미적거리자 회사를 떠난다. 상사들이 몇 주 동안 그의 집으로 찾아와 반도체사업을 꼭 할거라고 약속을 하자 회사로 복귀한다. 그는 그 정도 고집장이였다. 반도체사업 착수 후에는 그 고집과 열정을 반도체 사업을 키우는데 쏟아부었다.

타이밍도 좋았다. 삼성이 메모리반도체 사업에 진출을 결심할 즈음에 인텔 등 미국 반도체회사들이 부가가치가 낮은 DRAM사업을 접고 시스템LSI 로 올인을 했다. DRAM쪽에서 일하던 많은 교포 기술자들이 갑자기 일자리를 잃었고 삼성에서 그들을 싺쓸이해갔다. 어떤 사업이던 인재가 가장 중요한데 삼성은 순식간에 수 많은 인재를 끌어모을 수 있었다. 그들은 이윤우부회장의 리더쉽 아래 똘똘 뭉쳤다.

리더도 중요하고 타이밍도 중요하지만 그 무엇보다도 DRAM 사업은 우리나라 사람들 체질에 꼭 맞는 사업이었다. 우리나라 사람들은 목표만 정해지면 그 목표지점에 도달하는데는 타의 추종을 불허하는 일등이다. 그런면에서 DRAM은 목표설정이 너무 쉽다. 4메가를 달성하는 순간 16메가라는 목표가 정해진다. 그 다음은 64메가, 256메가, 1기가 식이다. 곱하기 4만 하면 된다. 일단 모두가 공감하는 목표가 정해지면 우리는 일사분란하게 돌진한다. DRAM이 크게 성공할 수 있었던 이유다.

반면에 시스템LSI는 목표설정이 쉽지않다. Clock Speed 1.2Ghz 짜리 프로세서 개발에 성공했다고 치자. 그 다음은? 1.5Ghz, 1.7Ghz 아니면 2Ghz를 할지 우왕좌왕 한다. 우리 체질에 잘 않맞는다. 지금은 많이 좋아졌지만 과거에 시스템LSI가 항상 헤맸던 이유다.

이명박정부의 핵심사업인 녹색성장과 4대강... 공감대형성이 부족했다. 국민의 힘을 결집할 수 없었다. 결국 실패했다. 박근혜정부의 키워드중 하나인 '창조경제'. 청와대 비서관이나 장관도 그게 어디다 쓰는 물건인지 햇갈려한다. '창조경제'가 뭔지도 모르는 판국에 뭘 어떻게 해야 할지 알리가 없다. 공감대가 전혀 없다. 윤진숙같이 여당도 야당도 일반국민도 모두가 다 아니라는 사람의 장관임명을 고집하는 집권스타일로 어떻게 국민들과 공감대를 형성하고 국민들의 힘을 결집할지 걱정이다.

No comments: